이번 포스팅은 전체적인 후기 포스팅입니다.발표 별 후기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1. 사용자 행동로그 검증으로 보는 데이터 QA 전략2. 자동화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액션3. 키워드 기반 자동화 테스트 with 로봇 프레임워크4. QA 엔지니어와 협업하여 생성형 AI 프로덕트의 완성도 높이기 5. 게임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QA하는 방법 6. 쏘카 QA 프로세스로 AI챗봇 고객센터 시스템(AICC) 품질 높이기 7. 결제 단말기 E2E 자동화 도입 및 운영 사례 8. Intelligent Automation : 효율적인 Test를 위한 Test case priority 안녕하세요! QA 코리아 컨퍼런스를 듣고 난 후 후기를 작성해 보려고 끝나자마자 글을 쓰고 있습니다 😅작년에 비해 전체적으..
분류 전체보기
기능 자동화에 대한 설명을 하다가 받은 질문에 대한 생각 정리를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반복되는 작업, 동일한 테스트는 더 이상 결함을 발견하지 못하기에 필요 없는 테스트가 되는 것일까요..?이번에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소프트웨어 테스팅 원리 - 살충제 패러독스소프트웨어 테스팅의 7가지 원리가 있습니다.테스팅은 결함이 존재함을 밝히는 활동이지, 결함이 없음을 밝히는 활동이 아니다.완벽한 테스팅은 불가능하다.조기 테스팅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결함은 집중된다.테스트 효과는 줄어든다. (살충제 패러독스)테스트는 정황에 의존적이다.결함-부재는 궤변이다 이 항목 중에 기능 자동화 테스트의 단점이라고 생각이 들 수 있는 "테스트 효과는 줄어든다(살충제 패러독스)" 항목과 관련되어 자동화에 ..
2024년 8월 20일부터 ISTQB 자격시험이 진행되는 ISTQB CTFL 게임 테스팅(CT-GaMe)에 대한 포스팅입니다플랫폼 QA만 해본 입장으로 게임 QA는 어떤 작업을 하는지 알아볼 겸 내용 정리해 보겠습니다 😎 플랫폼 QA가 생각한 게임 QA ?게임을 좋아하고 자주 하는 편이지만, 게임 QA를 해보지 않은 입장으로, 명확히 어떤 테스트를 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한번 생각해 본다면.. 게임 장르별 RPG, MOBA, FPS, RTS 등 운영 방식에 따라 테스트 방식이 다를 수 있을 것이고, 아이템 관리, 캐릭터 관리, 모션, 직업 별 밸런스 등 여러 고려사항이 있을 것 같습니다. 여러 사람이 접속해서 하는 게임이라면 성능, 핑 이슈도 생각해야 할 것이고, RPG라면 재화 단위에 대..
Selenium, Cypress, Puppeteer, Playwright 자동화 도구 중 Playwright를 선정 한 이유에 대하여 기술합니다.각 자동화 도구마다 장단점이 있으니 참고용으로 사용해주세요!이전 글2024.06.06 - [QA/기능 자동화] - 기능 테스트 자동화, 왜 Playwright를 선정했을까? (1) 기능 자동화 테스트 대상 분석자동화 도구를 선정하기 전 테스트 대상이 어떤 테스트를 원하는지 분석하였습니다.테스트 대상은 사내 제품인 채팅 상담 솔루션 제품이며, 고객과 상담사간의 대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테스트 대상인 상담 솔루션 제품은 어떤 테스트를 원할까요? 제품이 설치되는 환경은 고객사 환경마다 다르기에 어떤 브라우저를 쓸지 모르는 상태입니다.그래서 우선적으로 크로스 브라..
기능 테스트 자동화 라이브러리에 대한 비교 및 사내에 맞는 라이브러리를 선정하기 위한 자료 조사의 결과를 기술합니다! 비슷한 환경이거나 라이브러리마다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무조건 Playwright가 좋다기보단, 참고용으로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기능 테스트 라이브러리를 선정하기 위한 과정사내에는 기능 자동화 테스트 관련 작업이 진행된 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하나씩 알아가야하는 상황이었고, 가벼운 경험이라면, Selenium을 사용하여 로그인정도 해본 경험, 웹 화면 동작 레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코드를 얻어와서 수행하는 작업, 유료 툴인 Katalon 도구를 이용한 자동화 수행 경험을 가지고 있었지만, 자동화 프로젝트를 진행할 만큼 지식 수준은 아니었어서, 이번 자동화 프로젝트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