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liJ IDE의 라이선스를 사용하고 있는 엔지니어에게 제공되는 AI 무료 서비스 공유 IntelliJ 유료 라이선스 사용자에게 AI Assistant 무료 환경 제공JetBrains에서 IDE 라이선스를 구독하는 사용자에게 AI Assistant 환경을 제공해 준다고 합니다.AI 기능이 필요한데, Assistant를 사용하려면 AI 라이선스를 별도 구매해야해서 Cursor(VS Code)를 사용하려고 환경설정과 어색한 툴을 익혀가며 준비 중이었는데, 꽤나 솔깃한 기사였습니다. 4월 중순부터 2025.1 버전부터 추가되어 제공하고 있었지만 기존에 유료라고 생각하고 있었기에 안쓰고있던 저에게는 당장 써보고 싶었던 소식이었습니다. 참고: https://blog.jetbrains.com/ko/blog/..
블로그에 글을 쓰면서 다시 한번 써보고 싶었던 주제를 다뤄보려고 합니다.이전 글보다 조금 더 상세하게 어떤 부분에서 장점이 발휘했는지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 : [QA/수비 공간] - 개발자에서 QA로 전향 🕵️♂️ 안녕하세요. 수비입니다. 2025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새해에 가장 먼저 써보고 싶었던 글 입니다. 왜 개발자 업무를 진행하다가 QA를 선택하게 되었는지, 장점은 뭔지 이전 글 보다 상세하게 적어보고 싶었습니다.(24년 한 해 동안 받은 질문도 많았기 때문에 정리할 겸 적어보는 것도 있습니다 😀) 우선 QA 직무 관련 얘기를 하다보면 자연스러운 질문이 공통적으로 있었습니다. 개발자에서 왜 QA 직무로 변경하셨어요? QA 직무 관련 얘기를 하다보면 가..
TC를 작성할 때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을 말로 해보려니까 풀어내지 못하는 것 같아서 정리 겸 TC의 작성 방식을 한번 서술해 보려고 합니다. 현업에서 느꼈던 부분을 개인 정리 겸 하나의 포스팅으로 작성해 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수비입니다 :) 이번엔 자동화가 아닌 매뉴얼 QA로 업무 중 고민했던 사항인 TC의 작성 기준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는 방식은 개개인마다, 경험 기반으로, 고정된 양식 기준으로 등등 다양한 기준이 있을텐데요.제가 TC 작성 중 고민했던 부분과 너는 어떻게 TC를 짜고 있어?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무의식처럼 그냥 손 가는 대로..? 당연하다고 생각하며 작성했던 부분들을 정리하기 위해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2가지..
안녕하세요 수비입니다 :)최근 개발자 친구들과 논의한 주제가 있어서 개인적으로 다시 정리해 보고자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같은 컴퓨터공학과 친구들과 모이는 자리에서 자연스럽게 나오게 된 주제가 있었습니다.최근에 "특정 사이트의 연결된 도메인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라는 질문을 받았는데 어떻게 답변해야 할지 모르겠더라~! 이것 말한 순간 개발자 친구들의 답변은 모두 이런 반응이었습니다.도메인? 네이버로치면 xxx.naver.com? 이런 거? mail, blog 이런 걸 말하는 거야?그럼 서버랑 관련돼서 DB? 아니면 서브도메인이 뭐가 있을지 설명하는 건가? 이전의 저는 도메인에 대한 질문이 들어왔을 때 저 역시 개발자 친구들처럼 답변을 했었습니다. 쇼핑몰이면 결제 시스템 페이? 통합 로그인 도메인? ..
기능 자동화 환경 구성을 위해 필요했던 기술 조사부터 어떤 방식으로 환경을 구성했는지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처음부터 끝까지 직접 작업한 내용이고, 더 나은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전에 정리했던 포스팅들의 종합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온 자동화 관련 포스팅입니다. 올해는 기능 자동화를 위한 한 해가 되었던 느낌인데, 사내 발표를 진행한 내용을 바탕으로 블로그에도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자동화를 진행 중이거나, 어떤 방식으로 구성했는지 궁금하시다면 제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 사내에서 발표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PPT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몇몇 자료는 제외하고 포스팅 가능한 부분만 추려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작년부터 QA 컨퍼런스에서 자동화 관련된 얘기가 ..
Agile 방법론에서 QA 프로세스의 단계를 정리해 보고, 원칙이나 주요 활동, 장단점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업무에 사용했던 내용도 있고, 이번 포스팅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부분도 있습니다.다른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업무를 진행할 때 가장 많이 들었던 Agile 방법론에 대해 간단하게 생각해보고 QA 프로세스 관련 포스팅을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Agile 방법론으로 업무를 진행했다~ Jira를 통해서 소통했다 등등 자주 들었지만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웠던 내용들을 정리해 보면서 학습해보려고 합니다.Agile 방법론이란 ?Agile이라는 단어 자체는 "기민한" 혹은 "민첩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단어를 소프트웨어 개..
기능 테스트 자동화를 구성하면서 가장 어려웠다고 생각하는 부분인 식별자가 없을 때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방식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제 방법이 정답은 아니니까 이런 방식으로도 자동화를 구성하는구나 정도로 알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팅은 업무를 진행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인 식별자가 많이 부족한 상태에서 기능 테스트 자동화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기능 테스트 자동화를 구현해보신 분이라면, 각 메뉴나 버튼에 대해 식별자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행복인지 잘 아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당연하게도 모든 버튼이나 모든 기능에 대한 식별자를 넣는다는 것은 너무너무 어려운 일입니다.반응형 웹 페이지나 동작에 의해 특정 기능이 추가되는 등 항상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능 자동화를 구성하기 위한 POM 구조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합니다.자동화 테스트에서 왜 중요한지, 기본 개념과,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 POM(Page object Model) 구조란 ?POM 구조는 자동화 테스트를 구성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설계 패턴입니다. 왜 가장 기본이 될까요 ?페이지 단위로 모델링을 해야하는 장단점을 설명하는 것 보단 예시를 들어서 왜 필요한지 설명해보겠습니다 😀 오늘의 테스트 페이지는 네이버 날씨 페이지로 작성해보겠습니다 :) 우선 날씨 홈 화면 입니다. 상단에 날씨 관련 메뉴로 이동할 수 있는 "홈", "예보비교", "미세먼지", "지도", "영상", "기상특보" 페이지가 보이네요. 그리고 날씨 홈 화면에서 날씨 정보들..
👨🎨 24년 9월 ~ 10월 초 까지 IT 관련 컨퍼런스 일정 공유 포스팅입니다 :) 1. 토스 개발자 컨퍼런스 SLASH-24 (24. 09. 12)기간 : 2024. 09. 12 10:00 ~ 16:00장소 : 삼성동 COEX 그랜드볼룸URL : https://toss.im/slash-24 토스 개발자 컨퍼런스 SLASH24참가 신청 8.23-9.2 / 본 행사 9.12 COEXtoss.im 2. REAL SUMMIT 2024 (24. 09. 03)기간 : 2024. 09. 03 09:30 ~ 17:40장소 : 삼성동 COEX 아셈볼룸 및 오디토리움URL : https://www.real-summit.com/ REAL Summit 2024AI와 함께하는 가장 쉬운 초혁신, REAL Summi..
제가 들었던 발표에 대한 후기를 짧게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사진을 많이 찍었어야 했는데, 많이 찍진 못했고.. 다른 행사를 참여하다보니 늦게 들어간 발표도 있어서 내용이 많이 포함되진 않고 간략한 후기만 적어봤습니다 😅 1. UX 라이팅, 느낌 아닌 논리로 설득하기우아한형제들의 유다정님의 발표였고, 배달의 민족에서 볼 수 있는 UX 내용에 대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주로 알려주신 부분은 같은 의미를 가진 말이라도 단어 선택이나 어구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부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셨습니다.똑같은 배달 지연 관련 사과였지만, 항목을 분리하여 전달하려고 하는 목적을 분리하여 설명하면 고객이 더 명확하게 안내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쿠폰을 안내할 때에도 "5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