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QA & 개발 관련 일기,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합니다 :)
·QA/업무 방식
테스트라는 단계를 가볍게 생각할수록 개발이 중요한 거지, 테스트? 그냥 오류 없는지 확인하면 되는 거 아닌가?라고 생각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테스트..? 어떤 테스트를 어떻게 할건데? 우린 뭘 어떻게 해야 하는데..?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식은 단위 테스트부터 자동화까지 정말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럼 우리 제품은 뭘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데?라고 생각해 보며, 테스트 진행 방식을 계획한 뒤 업무를 수행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던 SDLC에 대한 글을 보셨다면, 중간중간 QA의 역할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STLC란? 체계적으로 구분되어 있는 SDLC에서 QA의 역할을 구분해 놓은 것이 STLC(Software Testing Life Cycle, 소프트웨어 테스팅 생명주기)이며, 각 단계에 맞는 작..
·QA/업무 방식
SDLC(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즉 개발 방법론에서 QA의 역할을 공부해 보다가 정리해 볼 겸 작성하는 포스팅입니다 :) 포스팅에서 나오는 자료는 Simplilearn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https://www.simplilearn.com/) SDLC를 간단하게 알아본다면...? 새로운 가게 창업을 하고 싶을 때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까요 ? 창업 박람회나 다방면으로 자료 조사를 하며 하고 싶은 업종을 찾고, 어디서 매장을 오픈할지 고민하며 임대 계약을 하고, 어떤 식으로 영업할지를 고민하며 매장을 꾸미고, 매출을 올릴지 생각해 보며 창업 과정을 진행할 것 같습니다. 새로운 창업에도 어떤 것을 할지 설계하고, 관련 업종을 분석하여 매장을 구축하고 고객 유지..
·QA/업무 방식
AI를 안 쓰면 안 되는 세상에서 잘 적응하고 계실까요? 아래 목록처럼 상황에 따라, 업무 분야에 따라 다양한 AI를 사용하며 업무나 개인적인 작업에 효율적인 부분을 향상시키기 위해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필요에 따라 GPT, Claude, IntelliJ AI 등을 활용하여 업무에 활용하고 있고, QA로써 어떤식으로 활용했는지 정리해 볼 겸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기획 문서를 활용한 매뉴얼 TC 초안 작성 요즘 Figma를 통한 기획 문서를 공유해서 기획 - 개발 - 품질 팀간 소통 하는 것을 많이 사용하는데, 저는 이렇게 작성된 이미지를 활용해서 TC 초안을 작성해 달라고 요청하는 편입니다. 예시로 Figma 무료 템플릿을 활용하여 TC 초안을 작성해보겠습니다 로그인 페이지, 회..
·QA/업무 방식
API TC 작성 방식에 이어서 매뉴얼 TC에서 비정상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는 기준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글 참고 링크 : 테스트 레벨 별 네거티브 테스트케이스 작성 방식 (API TC) 테스트 레벨 별 네거티브 테스트케이스 작성 방식 (API TC)한번쯤은 다시 정리해 볼 필요가 있었던 주제인 네거티브 테스트 작성 방식에 대해 정리해 보는 포스팅입니다.업무를 진행하면서 생각했던 것들을 작성하고, 여러 자료도 참고한 내용으로 글을qa-subi.tistory.com 테스트 레벨은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로 구분하였으며, 정상 동작은 제외하고 비정상 TC 항목을 어떤 식으로 작성할지에 대한 고민을 작성해 봤습니다. 여기서 하나 의문이 생겼습니다. 사용자 관점에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할..
·QA/업무 방식
한번쯤은 다시 정리해 볼 필요가 있었던 주제인 네거티브 테스트 작성 방식에 대해 정리해 보는 포스팅입니다.업무를 진행하면서 생각했던 것들을 작성하고, 여러 자료도 참고한 내용으로 글을 작성해보겠습니다. "통합 테스트의 기준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한다면 어떻게 작성될까요?" 순간 당황 했습니다. 테스트 레벨의 기준도 알고 있었지만 단위, 통합테스트 기준을 구분해서 TC를 작성한 적이 있었나..? 매뉴얼 테스트를 많이 하다보니,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 케이스의 경계를 애매모호하게 관리했다고 생각됐습니다. 그래서 한 번은 정리해보고 싶었던 내용으로, 테스트 레벨 별 TC 작성 방식에 대해 정리해보고 싶었고, API TC와 매뉴얼 TC를 구분해서 작성해보고 싶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API TC를 대상..
QA 업무를 진행할 때 개발팀과 협업했던 내용을 정리해 볼 겸 글을 작성해 봤습니다.저는 업무를 요청할 때 최대한 논리적인 이유로 요청을 했었는데, 제가 업무를 진행했던 과정도 한번 정리해 보면 다른 QA 분들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서 포스팅을 뜨끈하게 구워보겠습니다 :) QA 업무 중 테스트 자동화 업무를 진행할 때 개발팀의 손길이 필요하지 않으신가요? 주어진 상황에서 해결이 된다면 큰 문제가 없지만, 저는 테스트 자동화 스크립트를 개발할 때 개발 지원 요청이 필요했었습니다.웹 페이지에 보이는 요소(Element)의 식별자가 충분하다면 괜찮았겠지만 저는 매우 부족한 상태로 업무를 진행했었습니다. 그래서 이전에 포스팅했던 방식처럼 ID, Class와 같은 독립적인 요소가 있다면 편했지만, 그 외의..
·QA/Appium
이번 포스팅에서는 링크드인의 프리미엄 기능인 링크드인 러닝(Learning) 기능에 대해 소개합니다.새로운 기술 학습을 진행할 때 인프런이나 유튜브 등 여러 컨텐츠에서 자료가 없다면 링크드인 러닝에서 학습해 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관련 내용을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 혹시 링크드인 자주 사용하시나요 ? 저는 QA 직업과 관련해서 다른분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다른 기업은 어떤 문화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처럼 타인의 생각을 들어보기 위해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직업, 업무와 관련된 SNS로 활용을 많이 했던 링크드인 플랫폼이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당메님 블로그에서 링크드인 러닝 기능에 대해 확인했었는데, 제가 처음 확인했었을 땐 유료 기능이라 안 써봤고, 교육도 많이..
·QA/Appium
Appium 자동화 연습을 위한 Appium 환경 설정 방식을 정리합니다.GPT에 물어보면 상세하게 나오지만, 설정 과정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보고자 작성하는 포스팅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는 어플리케이션 테스트 자동화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Appium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 설정 방식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저는 QA와 Test Engineer로 업무를 수행하면서 주로 다뤘던 도메인은 웹 환경이었습니다. 자연스럽게 강점이 되긴 했지만, 반대로 약점이 되는 부분은 애플리케이션 부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점이 있었습니다.이를 보완하기 위해 혼자서라도 해보자!라는 생각으로 Appium 테스트 자동화를 혼자 시작해보고 있습니다. 제가 하고 있는 방식을 개인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포스팅이고, 진행 과정..
Q 트랙에서 네 번째 발표를 맡아주신 권덕중 님의 발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올리브영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QA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한 주제로 발표를 해주셨으며, 올리브영에서는 다양한 오류 상황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고, 사전대비를 하고 있는지, QA의 역할은 어떤 부분에서 중요한지 사례를 기반으로 설명해 주셔서 QA의 역할을 한층 더 배울 수 있던 발표였습니다.개인 블로그이기 때문에 주관적인 의견이 담겨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컨퍼런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 주세요 QA 컨퍼런스에 참여하시면 더 많은 자료를 보실 수 있으니, 다음 회차에서 직접 참여하시고 많은 정보를 받아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2025 QA 컨퍼런스 링크 : https://www.qa-korea.com/qaconf..
Q 트랙의 두 번째 발표를 맡아주신 황재성 님의 발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QA의 역할 중 중요한 소통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개발산출물 관리 부분에 대해 설명해 주시는 발표였습니다.개발 산출물의 품질 관리도 QA의 영역이라는 것을 배울 수 있던 발표였습니다!개인 블로그이기 때문에 주관적인 의견이 담겨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컨퍼런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 주세요 QA 컨퍼런스에 참여하시면 더 많은 자료를 보실 수 있으니, 다음 회차에서 직접 참여하시고 많은 정보를 받아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2025 QA 컨퍼런스 링크 : https://www.qa-korea.com/qaconference2025컨퍼런스 전체 리뷰 : 2025 4th QA 코리아 '오프라인' 컨퍼런스 후기2024 QA ..
Subi-QA
수비의 QA 이야기